미국 마이크로소프트(MS)의 클라우드 서비스 장애로 인해 전 세계 주요 기관들이 대규모 IT 중단 사태를 겪고 있다. 이로 인해 미국 알래스카주는 긴급 서비스에 영향을 받았고, 여러 항공사들이 전 세계 항공편 운항을 중단했다. 호주에서는 방송 네트워크와 슈퍼마켓이 마비 상태에 빠졌으며, 영국의 스카이 뉴스는 생방송을 중단했다.
장애의 원인은 명확하지 않지만, 많은 기관이 MS의 운영 체제와 관련이 있다고 보고하고 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문제를 조사 중이며, 대부분의 서비스는 복구되었다고 밝혔다. 호주 내무부 장관 대변인은 이 장애가 글로벌 사이버 보안 회사인 크라우드스트라이크와 관련이 있을 수 있다고 언급했으나, 사이버 공격과의 관련성은 확인되지 않았다.
이러한 장애로 인해 항공편 지연과 취소가 발생하고 있으며, 호주에서는 울워스와 같은 대형마트에서 결제 시스템이 다운되어 대기 줄이 늘어섰다. 세계 여러 공항에서도 시스템 장애가 발생하여 수동 체크인이 진행되고 있으며, 이로 인해 1,000편 이상의 비행이 취소되었다. 한국에서도 저비용항공사들의 예약 시스템이 먹통이 되어 항공편 지연이 이어지고 있다.

전 세계 IT 대란: 마이크로소프트 클라우드 서비스 장애로 인한 피해 분석 및 대책 제시
1. 사건 개요
2024년 7월 19일, 미국 마이크로소프트의 클라우드 서비스 장애로 인해 전 세계적으로 대규모 IT 시스템 마비가 발생했다. 이는 금융, 항공, 방송, 통신, 의료 등 다양한 산업에 영향을 미쳐 심각한 피해를 야기했다.
2. 주요 피해
1) 항공: 전 세계적으로 1,000여 항공편이 취소되고 수많은 항공편이 지연되었다.
2) 금융: 은행 시스템 장애로 인해 ATM 이용, 결제, 송금 등이 어려워졌다.
3) 방송: 일부 방송사는 방송 송출을 중단했다.
4) 통신: 호주에서는 통신사의 시스템 장애로 인해 비상 연락망 이용이 어려워졌다.
5) 의료: 영국의 일부 병원에서는 환자 기록 시스템에 장애가 발생했다.
6) 기타: 이 외에도 소매, 정부기관, 제조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피해가 발생했다.

3. 원인 분석
이번 장애의 원인은 마이크로소프트의 클라우드 서비스인 Microsoft 365의 오류로 밝혀졌다. 특히, Azure AD Connect라는 서비스에서 발생한 문제가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었다. Azure AD Connect는 온프레미스 Active Directory를 Azure AD와 동기화하는 서비스다. 이번 오류로 인해 사용자 인증 및 권한 부여에 문제가 발생하여 다양한 시스템들이 마비되었다.
4. 피해 복구 및 대책
마이크로소프트는 이번 장애 발생 후 몇 시간 만에 대부분의 서비스를 복구했다. 하지만 이미 발생한 피해는 상당하며, 이번 사건을 계기로 기업들의 클라우드 서비스 의존도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5. OS 전문가의 관점에서 제언하는 대책
1) 클라우드 서비스 의존도 분산: 하나의 클라우드 서비스에 모든 시스템을 의존하지 않고, 여러 클라우드 서비스를 활용하거나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환경을 구축하는 것이 좋다.
2) 백업 및 재해 복구 시스템 구축: 클라우드 서비스 장애에도 대비하여 정기적인 백업을 수행하고, 재해 복구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3) 시스템 모니터링 및 인시던트 대응 계획 수립: 시스템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장애 발생 시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인시던트 대응 계획을 수립해야 한다.
4) 사용자 교육 및 인식 개선: 직원들에게 클라우드 서비스 관련 보안 위험에 대한 교육을 실시하고, 의심스러운 행동이나 시스템 오류 발생 시 신속하게 보고하도록 교육해야 한다.
6. 결론
이번 마이크로소프트 클라우드 서비스 장애는 기업들의 클라우드 서비스 의존도가 높아짐에 따라 발생하는 위험성을 보여주는 사례이다. 기업들은 클라우드 서비스를 안전하게 활용하기 위해 위에서 제시한 대책들을 적극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또한, 정부와 관련 기관들도 기업들의 클라우드 서비스 활용을 지원하고, 관련 규제 및 보안 기준을 마련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ICT 레이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이폰 16 시리즈 & iOS 18 사용자라면 꼭 알아야 할 설정 팁 13가지! (0) | 2025.04.02 |
---|---|
스마일게이트 신작 '로드나인' 오픈 직후 서버 오류 "체면 구겼다" (0) | 2024.07.12 |
네이버 웹툰, 나스닥 상장 첫날 9.5% 급등! 4조 원 시가총액 달성 (0) | 2024.06.28 |
엔비디아, 3거래일 연속 폭락, 시가총액 3조 달러 밑으로 (1) | 2024.06.25 |
엔비디아, 마침내 시가총액 1위 등극 (0) | 2024.06.19 |